안녕하세요! 오늘은 경제성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인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경제적 등가 계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돈의 가치는 시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정확한 투자 결정이나 경제성 평가는 인플레이션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본 내용은 공학경제 <제3판>을 참고하여 만들어졌습니다.
1. 인플레이션과 구매력: 돈의 진짜 가치 알기 🛒
인플레이션(Inflation)이란?
-> 상품 거래량에 비하여 통화량이 과잉 증가함으로써 물가는 오르고 화폐 가치는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인플레이션의 발생 원인
- 과잉 투자
- 적자 재정
- 화폐 남발
- 극도의 수출초과
- 생산비의 증가
- 유효수요의 확대
해결책
- 소비 억제
- 저축 장려
- 통화량 수축
- 생산 증가
- 투자 억제
- 대부 억제
- 매점, 매석, 폭리의 단속
디플레이션(deflation)이란?
-> 광범위한 초과공급이 존재하는 상태(생산 과잉 => 공급 과잉)
※ 디플레이션은 돈과 물건과의 관계에서 보면 통화량이 물자의 유통량보다 적은 상태로 되어 있다(매일경제 용어사전)
1.1 화폐의 수익력 vs. 구매력
- 수익력 관점: 현재 50만원을 연 10% 복리로 저축하면 5년 뒤 약 100.6만원이 됩니다. () 액면가는 2배가 되었죠.
- 구매력 관점: '구매력'이란 화폐 한 단위로 살 수 있는 재화나 서비스의 양입니다. 만약 현재 50만원인 기숙사비가 매년 5%씩 오른다면(인플레이션율 5%), 5년 뒤 기숙사비는 약 63.8만원이 됩니다. (만원)
- 문제점: 5년 뒤 100.6만원은 현재 물가 기준으로는 기숙사 2달 치지만, 실제로는 오른 기숙사비(63.8만원) 때문에 약 1.6개월 치 밖에 안 됩니다. 즉, 액면가가 같다고 해서 경제적 가치가 같다고 볼 수 없습니다.
- 핵심: 경제성 분석 시,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을 고려하여 비용과 수익의 실질 가치를 반영해야 합니다.
1.2 물가지수와 인플레이션율
- 물가지수: 시간에 따른 상품/서비스 가격의 평균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 (화폐 구매력 측정 수단).
- 소비자물가지수(Consoumer Price Index: CPI): 소비자의 구매력을 보여주는 대표 지수 (통계청 매월 발표).
-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 기업 생산 원가 관련 지수 (경기 동향 판단 지표).
- 인플레이션율(): 1년을 기준으로 전년도 대비 물가의 변동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 예: 2021년 CPI=102.5, 2022년 CPI=107.7, 2023년 CPI=111.6
- 2022년 인플레이션율
- 2023년 인플레이션율
- 일반식
- 예: 2021년 CPI=102.5, 2022년 CPI=107.7, 2023년 CPI=111.6
- 구매력()과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일반적으로 구매력 하락을 의미합니다.
- t년도의 구매력
- 예: 2020년 기준(CPI=100), 2023년 구매력 (즉, 2020년 100원의 구매력이 2023년에는 약 89.6원으로 감소)
- 연평균 인플레이션율()과 연평균 구매력 감소율():
- 예: 2020년(CPI 100) 대비 2023년(CPI 111.6)의 연평균 인플레이션율은 3.73% (). 이때 연평균 구매력 감소율 (3.60%). 즉, 연평균 3.73% 물가 상승은 약 3.60%의 구매력 감소 효과와 같습니다.
2.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등가 계산: 현실 vs. 불변 📊
2.1 명목소득 vs. 실질소득
- 명목소득: 특정 시점의 화폐 금액 그대로 표시된 소득.
- 예: A씨의 2021년 소득 3000만원, 2023년 소득 3500만원 (명목상 500만원 증가)
- 실질소득: 물가 변동(인플레이션)을 감안하여 기준 시점의 화폐 가치로 조정한 소득 (실제 구매력 반영).
- 예: 2년간 인플레이션율이 15%라면, 2023년 명목소득 3500만원은 2021년 가치 기준 실질소득 약 3097만원 ( 추정 - 주의: 예제에서는 구매력 하락률 13%를 사용하여 3500/(1+0.13)=3097만원으로 계산함) 이 됩니다. 실질 소득은 약 97만원 증가한 셈입니다.
2.2 현금흐름 평가 방법
경제성 분석 시, 모든 현금흐름을 동일한 구매력 기준으로 표시해야 합니다
1. 현실화폐가치 (Actual/Current Dollars, )
- 의미: 수입/지출이 발생하는 시점의 물가 기준으로 현금흐름 표시.
- 예: 현재 밀가루 20kg당 4만원, 연 5% 가격 상승 예상 시 3년간 연간 200kg 구입 비용
- 1년차 말 비용 (현실가치): 40만원 * (1+0.05)^1 = 42만원
- 2년차 말 비용 (현실가치): 40만원 * (1+0.05)^2 = 44.1만원
- 3년차 말 비용 (현실가치): 40만원 * (1+0.05)^3 = 46.305만원
0 | 1 | 2 | 3 |
400000 | 420000 | 441000 | 463000 |
2. 불변화폐가치 (Constant/Real Dollars,
)- 의미: 현금흐름을 기준 시점 (t=0)의 물가 기준으로 표시 (물가 변동 제거).
- 예: 위 밀가루 예제를 불변화폐가치(t=0 기준)로 표시
- 1년차 말:
- 2년차 말:
- 3년차 말:
0 | 1 | 2 | 3 |
400000 | 400000 | 400000 | 400000 |
2.3 현실화폐가치와 불변화폐가치 변환
- 현실 불변:
- 불변 현실:
3. 이자율과 인플레이션: 시장이율 vs. 실질이율 🏦
3.1 정의
- 시장이율 (Market Interest Rate, ):
- 일반적으로 금융기관에서 사용하는 이율 (명목 이율).
- 인플레이션 효과가 포함되어 있음.
- 현실화폐가치로 표시된 현금흐름 분석에 적용.
- 실질이율 (Real Interest Rate, ):
- 인플레이션 효과를 제거하고 화폐의 순수한 수익력만 나타내는 이율.
- 불변화폐가치로 표시된 현금흐름 분석에 적용.
3.2 관계식
현재가치 는 현실화폐 미래가치 을 시장이율 로 할인하거나, 불변화폐 미래가치 을 실질이율 로 할인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불변화폐가치 = 현실화폐가치 x 1/ ( 1 + f)^n = 현실화폐가치 x PV(f%, m, ,-1)
불변화폐가치는 어느 시점(k)를 기준으로 그 이후의 인플레이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k 시점에서의 화폐가치로 나타낸다.
위의 그림은 현실화폐가치(F)와 불변화폐가치(F') 관계에서 앞서 언급한 시장이율(i), 실이율(i'), 그리고 인플레이션율(f)이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나타내고 있다.
현실화폐가치를 불변화폐가치로 전환하고자 하거나 그 반대를 원할 때는 인플레이션율을 고려해야 한다.
현실화폐가치를 이용하여 등가를 계산할 때는 시장이율 i을 적용하고, 불변화폐가치를 이용하여 등가를 계산할 때는 인플레이션 영향을 배제한 실이율 i'을 적용해야한다.
P= F x 1/ (1 + i)^n
F' = F x 1/ (1 + f)^n
현실화폐가치로 계산한 현가와 불변화폐가치로 계산한 현가가 같다는 사실로부터
P = F' x 1/ (1 + i')^n = F x 1 / (1 + f)^n(1 + i')^n
i = 1+ i / 1 + f = 1
3.3 계산 예제
- 예제 1: 연평균 인플레이션율(f) 5%, 시장이율(i) 10%일 때, 10년 후 100만원(현실가치 )의 현가(P)는? [Source 26, 27]
- 방법 1 (시장이율 사용):
- 방법 2 (실질이율 사용):
- 10년 후 100만원의 불변화폐가치(t=0 기준)
- 실질이율 계산: (4.76%)
- 현가 계산:
- 결과: 두 방법 모두 동일한 현가(만원)를 얻습니다.
- 예제 2 (채권 현가 계산): 액면가 1000만원, 명목 이자율 15%(매년 150만원 이자 발생), 만기 4년 남은 채권. 시장이율(i) 11%, 인플레이션율(f) 16%일 때 현가(P)는?
- 현실화폐가치 현금흐름:
- 1~3년차 말: 150만원
- 4년차 말: 150만원 (이자) + 1000만원 (원금) = 1150만원
- 방법 1 (시장이율 사용):
- 방법 2 (실질이율 사용):
- 실질이율 계산: (-4.31%)
- 현실가치 현금흐름을 불변가치()로 변환:
- 현가 계산 (실질이율 사용): (계산이 복잡해지므로, 등가 현금흐름 패턴이 아닐 경우 현실가치를 시장이율로 할인하는 것이 더 간편합니다.)
- 현실화폐가치 현금흐름:
불변화폐가치로 현금흐름을 환산하면 현실화폐가치기준일 때 균일지불 현금흐름이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구매력이 갑소되어 불변화폐가치로는 시간이 갈수록 감소하는 현금흐름이 된다.
=> 따라서 4년 후에 받게 되는 1150만원은 현시점에서의 가치로 보면 635.1만원의 가치밖에 되지 않는다.
이러한 불변화폐가치의 현금흐름으로부터 등가인의 현가를 구해도 앞에서 구한 현실화폐가치 기준일 때의 현가와 동일하다.
=> 실이율이 마이너스가 나온 이유는 인플레이션율이 시장이율보다 높기 때문이다.
- 예제 3 (은퇴 자금 마련): 50세인 사람, 65세부터 5년간 현재 물가 기준(불변화폐가치) 매년 1000만원 필요. 연평균 인플레이션율(f) 6%, 예금 이율(i) 8% 예상. 지금부터 15년간 매년 말 얼마씩 저축(A)해야 하는가?
- 접근 1 (실질이율 활용):
-
- 실질이율: (1.89%)
- 65세 시점 필요한 총 금액의 가치 (65세 기준 불변가치): 15년 말 시점에서, 16년~20년 말까지 필요한 연금(불변가치 1000만원)의 현재가치(15년 말 기준)를 실질이율로 계산 (이는 15년 말 시점의 불변가치)
- 이 불변가치()를 15년 말의 현실가치()로 변환:
- 15년 간 매년 말 저축액(A) 계산 (시장이율 8% 사용):
- 접근 2 (현실화폐가치 활용):
- 66세~70세에 필요한 금액을 각 연도의 현실화폐가치로 계산:
- 16년 말(66세):
- 17년 말(67세):
- ...
- 20년 말(70세):
- 이 현실가치들의 15년 말 시점 현가 합() 계산 (시장이율 8% 사용): (위와 동일)
- 15년 간 매년 말 저축액(A) 계산 (시장이율 8% 사용):
- 66세~70세에 필요한 금액을 각 연도의 현실화폐가치로 계산:
- 결론: 매년 말 약 417.48만원씩 저축해야 합니다.
-
4. 현금흐름 요소별 인플레이션율이 다를 때 🧩
실제 상황에서는 수익, 인건비, 재료비 등의 인플레이션율이 각기 다를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
- 각 현금흐름 요소(수익, 비용 항목 등)별로 예상되는 개별 인플레이션율을 적용하여 현실화폐가치 현금흐름을 계산합니다.
- 각 시점별로 현실화폐가치 현금흐름들을 합산하여 전체적인 순현금흐름(현실화폐가치)을 구합니다.
- 이 전체 순현금흐름(현실화폐가치)을 **시장이율(i)**을 사용하여 할인하여 현재가치(P)나 기타 경제성 지표를 계산합니다.
- 예제 (신제품 생산 투자):
예를 들어 어느 회사가 새로운 제품을 생산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설비투자 및 운영에 대한 현가를 구하고자 한다.
위의 표에 따르고, 설비의 잔존가치는 연 2%씩 가격이 상승될 것으로 예상되고 판매수익의 인플레이션율은 5%가 될 것으로 보고 있고, 인건비와 자재2의 상승률은 각각 연 8%와 4%로 예상되며, 자재1은 3년간 안정된 가격으로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
인플레이션은 돈의 가치, 즉 구매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투자나 사업 계획을 세울 때는 반드시 인플레이션을 고려해야 합니다. 현실화폐가치와 불변화폐가치, 시장이율과 실질이율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핵심입니다!
'공학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금을 고려한 등가계산 (0) | 2025.06.09 |
---|---|
📘 제3장. 등가계수와 등가계산 (1) | 2025.04.22 |
비용(원가)의 개념과 분류, 그리고 손익분기점 (0) | 2025.04.20 |